대중교통과 함께 살아가는 우리

2015-09-01     김은현 기자
  지난 6월부터 들려온 교통비 인상 소식은 부족한 생활비에 고심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어깨를 더욱 무겁게 한다. 실제로 통학을 하는 학생들은 어떤 어려움을 안고 있는지, 이번 요금 조정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가톨릭대 이가연(인문 1), 심승호(경영 1) 학생, 그리고 우리대학 윤다은(회계 1) 학우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통학하는 데 보통 몇 시간 정도 걸리며 하루 교통비로는 얼마나 지출하는가
다은 : 통학시간은 왕복 세 시간 정도다. 지하철을 주로 이용하고 역에서 학교까지는 버스를 탄다. 추가 요금이랑 환승 비용까지 계산하면 하루에 대략 4천 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
가연 : 두 시간 남짓 걸린다. 하루 교통비는 4천 원가량이다.
승호 : 공강이 없다고 치고 계산하면 한 달이면 거의 10만 원 이상이 교통비로 지출된다. 내 한 달 용돈이 30만 원인데 아르바이트비를 제외하면 삼분의 일이 교통비로 날아가는 셈이다.


  이번 요금 조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가연 : 너무 갑작스럽게 많이 뛰었다. 체감상으로는 거의 두 배 정도 불어난 것 같다. 교통비 인상으로 차비가 부담스러워서 친구들을 잘 만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승호 : 얼마 전까지는 청소년 요금을 냈는데 생일이 지나고 갑자기 성인 요금을 부담하게 되니까 더욱 실감이 나는 것 같다. 만 원 충전해봤자 삼일이면 없어진다. 거기에 이번 인상액까지 더해지면 부담스러운게 사실이다.
  다은 : 교통비 때문에 아르바이트를 한다. 아무래도 용돈만으로는 교통비와 더불어 식비나 유흥비까지 감당하기 힘들다. 이제 개강하고 나면 또 얼마나 쓰게 될지 걱정이다.

  대중교통 회사들은 만성 적자가 이번 요금 인상의 주된 이유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인상된 요금으로 안전과 관련한 서비스를 개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다은 : 서비스 개선에 대해서는 느끼는 바가 없다. 인상하고 아직 얼마 지나지 않아서일지도 모르지만 솔직히 앞으로도 개선점을 느끼긴 어려울 것 같다. 여전히 버스기사 분들은 거침없이 운전하고 에어컨 바람도 미지근하다.
  가연 : 공공기관 적자는 늘 있었는데 이걸 단순히 교통비 인상으로 처리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오히려 교통비가 오르면 무임승차가 늘지 않을까. 무임승차가 늘어나면 적자도 늘고.
  승호 : 기업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어쩔 수 없는 일인 것 같다. 우리는 상황을 잘 모르니까 그쪽에서 적자가 발생해 요금을 올리겠다고 하면 딱히 할 말이 없다. 왜 적자가 나는 건지. 세금은 다 어디로 사라지는 건지 알 길이 없다.

  대학생의 입장에서 정부나 대중교통 회사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다은 : 대학생 요금을 따로 만들어주기를 바란다. 아니 만들어야 한다.
  가연 : 이건 내 생각인데 학생증을 이용하는 방법도 괜찮은 것 같다. 휴학이나 남성들의 입대까지 고려해서 8년 정도 기한으로 학생증 교통카드를 만드는 거다.
  승호 : 요금을 올릴 때 시민들과 함께 의견을 제대로 조율했으면 좋겠다. 이렇게 통보하는 식이 아니라. 교통비가 인상돼 그 모든 비용을 부담하면서도 교통을 이용해야 하는 것은 다름 아닌 우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