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은 여성의 사회진출과 자기표현에 보수적이었던 19세기 후반의 런던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극의 주인공은 ‘안나’라는 여성이다. 그녀는 무직에 별다를 게 없는 평범한 여성이다. 그런 그녀에게 남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힘들 때 야한 상상을 한다는 것. 당시 시대상을 놓고 보면 그녀는 매우 특이한 여성이다. 당시 런던은 남성과 결혼해 애를 낳고 사는 것이 여성이 살아가는 이유이자 목적이었던 시대다. 심지어 남편이 없는 미혼 여성은 상속조차 받을 수 없는 시대기도 하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 앞에 ‘브라운’이라는 변호사가 찾아온다. 그녀가 일했던 집의 할머니가 남겨준 거액의 유산을 그녀에게 상속해주기 위해서다. 하지만 그녀는 미혼이었기에 상속을 받을 수 없었고, 브라운은 그런 그녀에게 남편을 찾고 직업을 가지라고 말한다. 그러다 그녀는 자신이 잘하는 야한 상상을 기반으로 책을 쓰는 작가가 된다. 이 책은 사회에 큰 파문을 불러온다. 그러나 여자가 이런 이야기를 쓴다며 비판하는 사람들 앞에서도 안나는 당당했다.
그녀의 대사 중에 이런 말이 있다. “지금의 나보다 내일의 내가 더 중요한 사람. 나는 나를 말하는 사람. 누군가에게 이해받지 못해도 아무도 나를 사랑하지 않아도 나는 나로서 충분히 괜찮아.”
그녀는 ‘여성’이라는 프레임을 뛰어넘는 인물이었다. 여성이라서 할 수 없는 것은 없음을 극 내내 보여줬다. 그녀는 자신을 성희롱하는 사람들에게 섹슈얼하면서도 직접적인 단어들로 당당하게 맞서 싸웠다. 당시 억압받던 여성들에게 그녀의 책은 또 다른 탈출구였다. 또한 섹슈얼한 것은 감춰야 할 것이 아닌, 특히 여성이라서 그래야 할 것은 더욱 아님을 말하고 있었다.
근래 우리대학에도 미투 운동이 일고 있다. 용기 있게 미투 선언을 한 이들처럼 그리고 안나처럼 우리는 우리의 권리를 주장하며 목소리를 내야 한다. 그렇기에 나는 당연한 것들이 당연해질 때까지 세상을 시끄럽게 만들 것이다. 부디, 나는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다수에게 오답이 되지 않기 위해서 혹은 관심이 없단 핑계로 당신의 권리를 포기하지 않기를 간절히 희망한다. 왜냐하면 기득권에 편승하고 있는 이들이 당연하게 누리고 있는 것들은 기득권과 싸운 다른 누군가가 피를 흘리며 이뤄낸 것들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덕성여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